생활정보/티끌모으기

실업급여 01. 이직확인서 발급 필수 (요청서 양식 다운로드)

평범한 하루 2020. 12. 20. 19:17
반응형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조건이 되어 실업급여를 신청하려고 한다면 반드시 전 직장에서 이직확인서를 발급받아야 한다. 퇴사 전 실업급여를 신청할 계획이 있다면 고용보험 상실 신고와 함께 이직확인서도 받을 수 있도록 사전에 요청하는 것이 가장 좋다.

 

하지만 이미 퇴사한 후 실업급여를 신청하려면 전 직장에 메일 또는 전화로 이직확인서 발급을 요청해야 하는데, 전화로 간단히 발급이 가능하다면 담당자에게 요청하는 것이 가장 간편하다.

 

메일로 발송할 경우, 이직확인서 발급 요청서를 첨부하여 요청하면 되며, 회사나 담당자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빠르면 1~2일 안에 처리해 준다. 그렇지만 법적으로 정해진 이직확인서 발급 기간은 요청 접수 후 10일 이내이므로, 실업급여를 빨리 신청하고 싶다면 최대한 빨리 이직확인서를 요청해야 한다.

 

또한 실업급여 산정 기간 (실업급여 신청전 퇴사일 기준, 1년 6개월 간 180일 이상 근무)에 근무처가 1개 이상이라면, 그 기간에 해당하는 직장의 이직확인서를 모두 받아야 한다. 이직확인서가 없으면 기간 인정이 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해당 기간의 모든 직장에서 이직확인서를 받도록 한다.

 

예) ㅇㅇ회사  2020.12.01 4개월 근무, 계약 만료 퇴사 후 실업급여 신청
     ㅁㅁ 회사 2020.07.01 2개월 근무 후 퇴사
     ㅎㅎ 회사 2020.02.01 2개월 근무 후 퇴사

→ 근무했던 ㅇㅇ,ㅁㅁ, ㅎㅎ 세 곳에서 이직확인서를 다 받아서 합쳐야 180일 정도가 되므로, 이직확인서를 세 곳 모두 받아야 함.

 

이직확인서 발급요청서

 

아름답고 행복하게 웃으며 퇴사했다면 별 문제는 없겠지만, 아무래도 퇴사 후 전 직장에 연락하는 것은 좀 껄끄럽다. 심지어 얼굴을 붉히고 나왔다면 더더욱 연락하고 싶지 않다......실업급여 신청 시 담당기관에서 회사로 요청해서 받는다면 가장 좋을 텐데.

 

어쨌든 실업급여를 받아야 하는 입장에서 반드시 필요한 서류이니 회사에 연락을 해야 하는데, 혹시 안 주면 어떡하나 걱정이 되기도 한다. (실제로 이런저런 핑계를 대며 발급을 미루는 회사가 많다고 함..)

 

그렇지만 이직확인서 발급 거부 시, 사업주에게 과태료가 발생한다. 사업주도 굳이 과태료를 내면서까지 발급을 거부할 이유는 없을 테니 쫄지말고 신청해도 될 것 같다. 그리고 이직확인서를 빨리 처리해주지 않고 미루는 경우, 관련 기관에 민원 신청하면 기관을 통해 쪼으는(?) 방법도 있으니, 확인해 보는 것이 좋겠다.


 

 이직확인서 발급 요청서 양식 파일 다운↓

 

이직확인서 발급요청서.hwp
0.06MB

 


 

이직확인서 발급을 요청한 후에는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이직확인서 처리 여부 조회로 서류 발급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해 볼 수 있다. 실업급여를 신청하려면 이직확인서가 처리되어 있어야 하므로 헛걸음하지 않게 미리 확인하고 신청하는 것이 좋다.

 

이직확인서 처리여부 조회하기

 

고용보험

 

www.ei.go.kr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실업급여 관련 작업을 하려면 공인인증서/핸드폰 본인인증을 해야 한다.

 

 

이직확인서 처리여부 조회 방법

 

홈페이지에서 [개인서비스] → [조회] → [이직확인서 처리여부 조회] 항목을 누르면 처리 여부가 나온다. 

 



이직확인서 처리여부 조회 페이지에서 이직확인서 이력을 볼 수 있다. 상용 이력 이직 정보만 조회되고, 처리가 완료된 건은 [처리완료], 접수는 [접수완료]로 되어있다. 이직확인서가 [처리완료] 상태가 된 것을 확인했다면 이제 [수급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을 들으면 된다.

 

 

※ 실업급여 관련 문의사항 ※

고용노동부 상담센터 ☎ 1350

 

+) 1350보다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에 문의했을 때, 실업급여 실무자에게 더 정확하고 빠른 답변을 받을 수 있었다. 1350은 고용노동부 상담센터라 전체 내용을 안내해주는 정도의 상담을 해주시는 것 같아서 원하는 답변을 받지 못했다. 본인 거주지 담당 고용센터로 문의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당!

반응형